해보 작은도서관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밀재로 1261-7 (구)해보면사무소 2층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7km
작은도서관
바로가기
나산 작은도서관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나산길 51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7.7km
작은도서관
바로가기
장성군립삼계도서관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영장로 1585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9.2km
공공도서관
바로가기
신광 마을도서관
전라남도 함평군 신광면 신광중앙길 84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5km
작은도서관
바로가기
이야기꽃도서관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운중앙로67번길 6(선암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4km
공공도서관
바로가기
대동 사랑방문고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대동길 5-10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2km
작은도서관
바로가기
영광 군립도서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 228-1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3km
공공도서관
바로가기
전라남도교육청영광도서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 13길2-1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4km
공공도서관
바로가기
잠월미술관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산내리 376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7.13km
바로가기
수다라성보박물관(영광불갑사)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8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7.74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대호동 252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24km
바로가기
함평군립미술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수호리 1154번지 1호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7.08km
바로가기
나주배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석전리 381번지 11호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3km
바로가기
나주복암리고분전시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71번지 0호 1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52km
바로가기
백호문학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103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54km
바로가기
한국천연염색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163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78km
바로가기
광주가톨릭박물관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997번지 1호 0호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1.89km
바로가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1004번지 4호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3.43km
바로가기
공예미술관 보임쉔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응용리 591번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3.89km
바로가기
아인미술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야은리 292번지 5호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4.95km
바로가기
잠월미술관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산내길 60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7.13km
바로가기
수다라성보박물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로 450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7.68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동신대길 6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45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문화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동신대길 6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45km
바로가기
함평군립미술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곤재로 2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68km
바로가기
홍길동 전시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홍길동로 431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7.77km
바로가기
홍길동전시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홍길동로 431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7.77km
바로가기
필암서원 유물전시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서원로 18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8.17km
바로가기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전라남도 나주시 죽림길 2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8.92km
바로가기
나주배박물관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영산로 5838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42km
바로가기
나주복암리고분전시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백호로 28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51km
바로가기
백호문학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길 8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0.54km
바로가기
호남대학교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대길 120 (서봉동, 호남대학본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63km
바로가기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대길 36 (서봉동, 경전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96km
바로가기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대길 36 (서봉동, 경전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96km
바로가기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대길 36 (서봉동, 경전관)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96km
바로가기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5 (산정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07km
바로가기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5 (산정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07km
바로가기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5 (산정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07km
바로가기
광주여자대학교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0 (산정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16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
전라남도 나주시 동신대길 67 (대호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45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 대학원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185 (대호동, 동신대학교)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58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185 (대호동, 동신대학교)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58km
바로가기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라남도 나주시 건재로 185 (대호동, 동신대학교)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6.58km
바로가기
언론기관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지장골길 52-5, 2층(죽정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1.23km
바로가기
장애인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로 243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86.82km
바로가기
학교부설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38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46.4km
바로가기
원격평생교육시설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139, 11층 알1166호(길동,강동그린타워)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261.22km
바로가기
지식인력개발형태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한티고개길5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253.14km
바로가기
사업장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한내로 87(동대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253.14km
바로가기
원격대학형태
광주광역시 북구 서양로 64 (2층)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253.14km
바로가기
시민사회단체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큰길 27-19(화산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253.14km
바로가기
학교형태
광주광역시 서구 칠성로 131 , 3층 (쌍촌동)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3253.14km
바로가기
고법(고급)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녹산로 135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2.65km
바로가기
고법(초급)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34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18km
바로가기
판소리·민요(A)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34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18km
바로가기
판소리·민요(B)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34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18km
바로가기
La La Land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시청로 17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25km
바로가기
시문학강의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1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37km
바로가기
타로심리상담사2급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1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37km
바로가기
민화그리기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16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37km
바로가기
(찾아가는 경로당 문해교육)하남3리 경로당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후평동길 73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38km
바로가기
하브루타토론지도사2급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천년로13길 2-39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4km
바로가기
그림책 리딩푸드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공원로 8-13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83km
바로가기
쿠키베이킹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공원로 8-13
'월야 작은도서관'에서 15.83km
바로가기
당진도서관에서 하는 채움인문학 속 책들이 전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는 3월, 5월, 7월, 9월, 11월에 주제가 있는 인문학 강연을 하는데 3월에 있었던 '기후와 나를 살리는 식탁'을 이미 들었던 터다. 5월은 패스하고 구미가 당기는 강연은 7월과 11월. 클래식은 또 빼먹으면 안되니까 11월은 무조건 신청...
독서기록(2025-06-23 06:18:00)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 저술가 · 시인 · 철학자로, IASB 2012년, 다산 탄생 250주년을 맞아 '2012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선정되었어요. 정약용 선생은 독창적인 사상과 탁월한 업적으로 조선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요. 특히, 오늘 소개해드릴 정약용유적지는 그가 사상과 학문을 꽃피운 장소...
남양주시 블로그(2024-09-14 09:00:00)
조용한 도서관이나 독서실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일단 닙을 꺼내보니 앙증맞은 닙파트가 빼꼼 나와있는 게 귀여워보였다. 대놓고 '나 만년필이오' 동네방네 이목집중시키는 거대한 펜촉은 내 취향과는 정반대라서, 항상 닙이 작은 라미나 세일러 하이에이스, 그보다 조금 더 크지만 시선을 끌 정도는 아닌 파버카스텔...
지적 생활을 위한 넓고 얕은 취미(2018-02-18 14:00:00)
전자도서관에서 찾아낸 이 책. 조선 풍속화에 대한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미술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말하는 저자는 풍속화를 보면서 도대체 이 그림은 무슨...말인가?' 저자는 '혜원전신첩'에 실린 30점의 풍속화를 통해 조선 후기 풍속사에 대해 당시의 제도와 사람들의 삶과 애환과 억압된 부조리에 대한 다양한...
세상 속으로, 영혼의 자유를 찾아서(2013-02-04 15:20:00)
우리 도서관에 13권까지만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확인된다. 조만간 차근차근 하나씩 다 읽어봐야겠다. <회화> 편에서는 순수 감상화가 주류를 이루는 조선시대 그림을 대상으로 한자문화권에서 우리 그림의 바른 위상, 감상방법의 기초, 시대순 혹은 장르별로 그동안 이루어진 학계의 연구 성과를 이야기한다...
shinny96님의 블로그(2022-02-16 16:12:00)
조선 후기 3대 화가로 불린다. 김홍도가 서민들의 생활을 주로 그렸다면 신윤복은 남녀간의 은밀한 정을 소재로 많이 삼았다. 그래서인지 신윤복은 섬세하고 유연한 선과 색채의 ‘달인’이었다. 소설과 드라마, 영화에서 신윤복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남장여자로 설정한 점은 그의 이런 여성적인 화풍에서 상상력을...
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2008-10-02 00:00:09)
대표작에 「월야산수도」가 있으며, 이 밖에도 「춘하도리원호흥도(春夏桃李園豪興圖)」「월하계류도(月下溪流圖)」「고사몽룡도(高士夢龍圖)」「목우도(牧牛圖)」「맹견도(猛犬圖)」 등이 있다. 김두량의 인장 작품설명 이 그림은 낙관에 보이는 갑자라는 간기로 미루어 49세 때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안개 낀 늦가을...
동심화가_ 멍석(meongseog) 김문태(2007-12-21 18:51:11)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